자녀 교육에 반드시 실패하는 부모의 행동 자녀 교육에 반드시 실패하는 부모의 행동(2-49) 1. 남과 비교해서 자녀를 평가한다. 2. 무조건 안된다고 한다. 3. 자녀의 학교 성적에만 집착한다. 4. 일관성 없는 언행을 한다. 5. 칭찬에 인색하고 모든 것에 완벽을 요구한다. 6. 자녀를 독립체가 아닌 소유물로 생각한다. 7. 자기 노력을 게을리하는 부모는..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16
좋은 아버지가 되는 길 좋은 아버지가 되는 길 1. 자녀의 책가방 무게와 공책을 살펴보라. 2. 자녀에게 전해주고 싶은 말을 편지로 써보라. 3. 자녀에게 결정권을 주고 책임감을 실어주어라. 4. 자녀의 학교를 방문해 보라. 5. 자녀와 공통의 관심사를 갖도록 노력해라. 6. 자녀와 함께 지내는 시간은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 7. 자..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15
자녀를 리더로 만드는 말에 대한 교육 자녀를 리더로 만드는 말에 대한 교육(2-47) 1. 항상 인사하는 습관을 길러주어라. 2. 존댓말을 쓰도록 하라. 3. 말을 잘하기 보다는 잘 듣도록 하라. 4. 자녀가 할 말을 나서서 대변하지 말라. 5. 말을 할 때도 들을 때에도 매너가 있음을 가르쳐라. 6.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게 하라. 7. 때와 장소에 맞게 말..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12
자녀가 가정에서 배우는 것(2-46) 자녀가 가정에서 배우는 것(2-46) 1. 자녀가 꾸지람 속에서 자랐다면 자녀는 비난하는 것을 먼저 배운다. 2. 자녀가 미움 속에서 자랐다면 자녀는 사랑보다는 싸움을 먼저 배운다. 3. 자녀가 놀림 속에서 자랐다면 자녀는 당당히 사람앞에 나서지 못하고 수줍음만 타게 된다. 4. 자녀가 관용 속에서 자랐다..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11
자녀를 위한 행동(2-43) 자녀를 위한 행동(2-43) 1. 대화를 통해 웃음을 만끽하게 하라. 2. 자녀에게 책을 읽어주어 책과 가깝게 해라. 3. 자녀에게 집안일을 분담시켜 그 일을 함으로써 소속감, 책임감을 갖게 하라. 4. 자녀에게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해라. 5. 자녀를 위해 음식을 만들어라. 6. 자녀들과 잦은 스킨십을 ..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09
맛벌이 부부가 자녀를 위해 해야할 것(2-42) 맛벌이 부부가 자녀를 위해 해야할 것(2-42) 1. 출근 전, 퇴근 후 자녀를 안아주어 자신들의 사랑을 느끼게 해준다. 2. 바쁜 와중에도 틈틈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하거나 책을 읽어주고 이야기를 들어준다. 3. 아버지도 집안일을 분담하여 자녀들과 즐거운 마음으로 참여하여 유대감을 갖게 한다. 4. 부..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05
맞벌이 부부가 자녀에게 하면 안되는 것(2-41) 맞벌이 부부가 자녀에게 하면 안되는 것(2-41) 1. 부모가 집을 비우는 시간이 많다고 해서 자녀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을 갖는다. 2. 돈을 필요 이상으로 많이 준다. 3. 자녀가 할 일을 자녀와 의논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정하고 그 일을 지시한다. 4. 자녀가 있는 자리에서 직장이나 집안일에 대해 다른 사람..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04
자녀의 인격을 위한 지도 방법(2-39) 자녀의 인격을 위한 지도 방법(2-39) 1. 자주 안아주고 귀여워해 준다. 부모의 애정이 담김 신체 접촉을 많이 받은 자녀는 자신이 부모에게 사랑받고 있다는 안정감을 느끼게 되어 밝고 명랑하게 자라며, 따뜻한 마음을 가지게 된다. 2. 항상 자부심과 용기를 갖도록 한다. 자녀들은 여리고 잘못하는 일과..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3.02
자녀교육을 위한 방법(2-38) 자녀교육을 위한 방법(2-38) 1. 너무 공부만 강요하지 말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 할 수 있도록 가르쳐라. 2. 듣는 교육보다는 보는 교육을, 보는 교육보다는 생각하는 교육을 해라. 3. 단편지식보다는 넓은 지혜를 가르쳐라. 4. 남이 하는 정도로 만족하지 않게 하라. 5. 자녀를 야단쳤다면 반드시 위로와 ..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2.26
자녀가 가정에서 배우는 것들(2-37) 자녀가 가정에서 배우는 것들(2-37) 1. 갈등과 충돌이 계속되는 가정에서 자녀들은 다툼을 배운다. 2. 두려움과 초조가 있는 가정에서 자녀들은 염려를 배운다. 3. 조롱의 언행이 표현되는 가정에서 자녀들은 부끄러움을 배운다. 4. 수치심을 느끼게 하는 가정에서 자녀들은 죄의식을 배운다. 5. 동정심과 .. 삶의지혜/자녀교육 2010.02.25